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원도 5일장 일정표, 오일장, 장날 날짜 모두 정리

by 요즘바로정보 2025. 10. 6.
반응형
강원도 5일장 일정표, 오일장, 장날 날짜 모두 정리

강원도 5일장 일정표, 오일장, 장날 날짜 모두 정리

강원도 여행을 준비하다 보면 꼭 한 번 들르고 싶은 곳이 전통 5일장(오일장)입니다. 직접 가보면 로컬 농산물과 반찬, 산나물, 바다 식재료까지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어요. 저도 정선·강릉·삼척 일대를 다니며 장날에 맞춰 들렀더니 여행 만족도가 훨씬 올라갔습니다. 아래에 장날 주기(1·6 / 2·7 / 3·8 / 4·9 / 5·10) 개념과 강원 주요 장터별 예시 일정표, 월별 계산 방법, 확인 요령을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목차


Ⅰ. 5일장(오일장) 개념과 기본 규칙

5일장은 말 그대로 5일마다 여는 장입니다. 한 달 동안 두 날짜가 짝을 이룹니다.

패턴(주기) 장날이 서는 날짜 예시 표기 설명
1·6일 1, 6, 11, 16, 21, 26, 31 “1·6일 장” 매달 1일과 6일을 시작점으로 5일 간격
2·7일 2, 7, 12, 17, 22, 27 “2·7일 장” 정선 아리랑시장 등 다수
3·8일 3, 8, 13, 18, 23, 28 “3·8일 장” 동해 북평 민속시장 등
4·9일 4, 9, 14, 19, 24, 29 “4·9일 장” 양양, 영월, 인제 등 다수
5·10일 5, 10, 15, 20, 25, 30 “5·10일 장” 평창, 양구, 동송 등
※ 장날은 지자체 행사/공휴일/기상에 따라 조정·휴장될 수 있습니다. 출발 전 반드시 현장 연락처·공식 공지를 확인하세요.

Ⅱ. 강원도 주요 장터 & 주기표(예시)

아래 표는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 대표 장터와 알려진 주기를 한 눈에 보시라고 정리한 안내용 예시입니다. 방문 전 마지막 확인은 필수입니다.

지역/시장명 주기(패턴) 간단 특징 비고
정선 아리랑시장(정선) 2·7일 (2,7,12,17,22,27) 산나물·약초·감자 등 로컬 농산물 정선군 누리집
강릉 중앙시장/주문진장(강릉) 강릉 2·7 / 주문진 1·6 (지역별 상이) 수산물·건어물·간식 풍부 방문 전 시장별 문의
동해 북평 민속시장(동해) 3·8일 규모 큰 전통시장, 먹거리 다양 주차장 혼잡 유의
양양 5일장(양양) 4·9일 연어·송이철 활기, 지역 농수산물 성수기 혼잡
영월 5일장(영월) 4·9일 동강권 로컬 먹거리, 반찬류 -
평창 5일장(평창/봉평 등) 5·10일 (봉평은 2·7 사례도) 메밀·산채, 고랭지 농산물 읍/면별 상이
춘천 풍물장(춘천) 2·7(사례) 등 변동 닭갈비 골목 접근 용이, 생활잡화 현장 공지 확인
화천·인제·양구권 3·8 / 4·9 / 5·10 혼재 산간·내륙 특산물(산채·임산물) 마감 시간 빠른 편
• 같은 시·군이라도 읍/면마다 장날이 다를 수 있습니다. “지역명 + 5일장”으로 검색 → 최신 공지 확인을 권장합니다.

Ⅲ. “이번 달 장날” 계산법(달력 예시)

여행 날짜에 맞춰 장날을 맞추려면, 달력에서 해당 패턴을 5일 간격으로 체크하면 됩니다. 예시(임의 월):

패턴 이번 달 해당 날짜(예시) 메모
1·6일 1, 6, 11, 16, 21, 26, 31 31일 있는 달에 추가 1회
2·7일 2, 7, 12, 17, 22, 27 정선 아리랑시장 등
3·8일 3, 8, 13, 18, 23, 28 북평 민속시장 등
4·9일 4, 9, 14, 19, 24, 29 양양·영월·인제 등
5·10일 5, 10, 15, 20, 25, 30 평창·양구·동송 등
팁) 아침 9~11시 사이에 가면 품목이 가장 다양하고 신선합니다. 점심 이후에는 인기 품목 품절이 잦아요.

Ⅳ. 지역별 방문 팁(동해안·내륙·산간)

권역 핵심 품목 방문 시간대 유의사항
동해안(강릉·동해·삼척·양양) 수산물·건어물, 해조류, 젓갈 오전 추천(입고 직후) 성수기/주말 혼잡, 아이스박스 지참
내륙(원주·춘천·홍천·영월) 채소·곡물·반찬, 로컬 간식 오전~정오 주차·현금 준비, 카드 가맹 여부 확인
산간(정선·평창·인제·양구·화천) 산나물·약초·감자·버섯 오전 강추 조기 마감 잦음, 날씨 영향 큼

Ⅴ. 현장 확인 체크리스트 & 준비물

체크 항목 확인 포인트
장날 변동 지자체 공지, 시장 상인회 공지 필수 확인
운영 시간 대체로 오전~오후 초반, 품목별 조기 품절
결제 수단 현금 권장, 일부 카드/제로페이 가능
주차/교통 장날 주변 도로 정체, 공영주차장 위치 체크
포장/보관 쿨러백·아이스팩, 소분 지퍼백 지참
• 로컬 반찬·장아찌는 시식 후 구매가 좋고, 수산물은 얼음 포장을 요청하면 이동 중 신선도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Ⅵ. 제가 다녀본 장터 후기와 동선 추천

정선(2·7일)은 아침 일찍 가면 산나물·감자·곤드레가 신선했고, 시장 골목 국밥집에서 든든히 먹고 이동하기 좋았습니다. 동해 북평(3·8일)은 규모가 커서 먹거리 탐방에 시간을 넉넉히 잡는 게 좋아요. 강릉(2·7일)–주문진(1·6일)은 일정이 맞으면 하루에 동선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동해안선은 해변 산책 → 장터 → 카페 코스로 마무리가 깔끔했습니다.

  • 1안(동해안 먹킷리스트): 주문진장(오전) → 회센터 점심 → 강릉 시장/카페 → 경포 해변 석양
  • 2안(내륙·산간 로컬푸드): 정선장(오전) → 아리랑시장 먹거리 → 병방치/풍경 드라이브 → 영월/평창 숙소

Ⅶ. 마지막 정리(자주 묻는 질문)

질문 답변
비 오면 장이 열리나요? 대부분 정상 운영하지만, 호우·태풍 시 축소/휴장 가능. 당일 새벽 공지 확인이 안전합니다.
몇 시까지 가야 하나요? 신선 식재료는 오전 9~11시가 베스트. 정오 이후 인기 품목은 품절 빈도 높습니다.
가격 흥정 가능? 소량보다는 여러 품목 묶음 구매 시 덤이나 소폭 조정이 자연스럽습니다.
공식 안내 참고: 정선군 누리집 (정선 5일장 일정 확인) / 강원 전역은 각 시·군 누리집에서 “5일장” 검색으로 최신 공지 확인을 권장합니다.

※ 본 글의 표기 주기는 여행자 입장에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리입니다. 읍·면별로 다를 수 있으니 방문 전 마지막 확인을 꼭 하세요. 안전하고 즐거운 장터 나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